Art Archive

LANGUAGE

Jenny Holzer 제니 홀저

2024.09.10.

Like Beauty in Flames, AR component, 2021

실제로는 평범한 건물이지만 AR 어플을 통해 바라본 미술관에는
'전쟁이 있었다; 불꽃 속의 아름다움' 등과 같은 문구가 쓰인 LED 간판이 휜 채로 떠다닙니다.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 파사드 위 에서도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된 문구가 투사됩니다.

Blue Purple Tilt, 2007

Purple, 2008.

위 문구들은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진부한 교훈같은 표현들입니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시간은 금이다.’ '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같은 격언이 될 수 있죠.


모두가 평등하게 볼 수 있는 공공장소에 텍스트가 놓이게 되었을 때

한국인에겐 낡고 진부했던 표현이 어떤 외국인에겐 흥미로운 생각일 수도,

우스운 농담조의 텍스트가 딱딱한 번역을 거쳐 딱딱한 교훈처럼 느껴지게 될 수도 있습니다.
모두에게 다르게 느껴질 수 있는 언어의 투명함을 감각해보세요.

Selections From Truisms: A sincere effort is all that you can ask..., 2001

온라인으로 접근 가능한 형태의 작품이 갖는 기능 중 하나는, 공공장소처럼 모두가 접근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지구 반대편 나라에 있는 작품도, 어린 아이도 감상이 가능하며, 심지어는 자신의 의견을 남길 수도 있습니다.


미술계를 포함한 사회 안에서 보이지 않는 권력 관계를 벗어나 모두에게 평등할 수 있도록 설계한 작품이 가진 민주주의적 특성을 주목해보세요.

    Fatal error: Uncaught TypeError: Cannot access offset of type string on string in /hosting/eoeo/html/wp-content/themes/eoeo/single-magazine.php:140 Stack trace: #0 /hosting/eoeo/html/wp-includes/template-loader.php(106): include() #1 /hosting/eoeo/html/wp-blog-header.php(19): require_once('...') #2 /hosting/eoeo/html/index.php(17): require('...') #3 {main} thrown in /hosting/eoeo/html/wp-content/themes/eoeo/single-magazine.php on line 140